최종편집: 2023-09-26 17:02

  • 흐림속초18.9℃
  • 비20.4℃
  • 흐림철원20.9℃
  • 구름많음동두천20.4℃
  • 흐림파주20.4℃
  • 흐림대관령16.8℃
  • 흐림춘천20.2℃
  • 박무백령도19.7℃
  • 비북강릉19.7℃
  • 흐림강릉21.0℃
  • 흐림동해20.1℃
  • 비서울20.7℃
  • 비인천20.7℃
  • 흐림원주20.8℃
  • 흐림울릉도20.5℃
  • 비수원20.7℃
  • 흐림영월19.9℃
  • 흐림충주20.5℃
  • 흐림서산23.4℃
  • 흐림울진20.4℃
  • 흐림청주22.6℃
  • 흐림대전21.9℃
  • 흐림추풍령19.3℃
  • 비안동20.2℃
  • 흐림상주20.2℃
  • 비포항21.4℃
  • 구름많음군산25.0℃
  • 비대구21.1℃
  • 흐림전주23.2℃
  • 비울산21.8℃
  • 흐림창원23.5℃
  • 흐림광주24.9℃
  • 비부산23.2℃
  • 구름많음통영25.4℃
  • 흐림목포25.1℃
  • 구름많음여수26.3℃
  • 구름조금흑산도24.5℃
  • 구름많음완도26.3℃
  • 구름많음고창24.5℃
  • 구름많음순천23.9℃
  • 흐림홍성(예)24.0℃
  • 흐림22.3℃
  • 구름조금제주28.8℃
  • 구름조금고산26.7℃
  • 구름많음성산25.7℃
  • 구름조금서귀포28.7℃
  • 흐림진주24.7℃
  • 흐림강화20.3℃
  • 흐림양평20.5℃
  • 흐림이천20.4℃
  • 흐림인제20.3℃
  • 흐림홍천20.3℃
  • 흐림태백17.6℃
  • 흐림정선군19.8℃
  • 흐림제천19.4℃
  • 흐림보은20.4℃
  • 흐림천안21.7℃
  • 흐림보령23.9℃
  • 흐림부여23.1℃
  • 흐림금산21.1℃
  • 흐림21.8℃
  • 구름많음부안25.4℃
  • 구름많음임실21.3℃
  • 구름많음정읍24.4℃
  • 구름많음남원22.6℃
  • 구름많음장수20.8℃
  • 구름많음고창군24.1℃
  • 구름많음영광군25.1℃
  • 흐림김해시23.5℃
  • 구름많음순창군23.9℃
  • 흐림북창원24.7℃
  • 흐림양산시22.5℃
  • 구름많음보성군27.0℃
  • 구름많음강진군28.1℃
  • 구름많음장흥26.5℃
  • 구름조금해남26.8℃
  • 구름많음고흥27.6℃
  • 흐림의령군24.0℃
  • 흐림함양군21.7℃
  • 구름많음광양시26.2℃
  • 구름많음진도군25.5℃
  • 흐림봉화19.2℃
  • 흐림영주18.9℃
  • 흐림문경19.9℃
  • 흐림청송군20.3℃
  • 흐림영덕20.0℃
  • 흐림의성21.0℃
  • 흐림구미20.6℃
  • 흐림영천20.6℃
  • 흐림경주시21.9℃
  • 흐림거창20.2℃
  • 흐림합천21.9℃
  • 흐림밀양24.0℃
  • 흐림산청23.0℃
  • 흐림거제24.0℃
  • 구름많음남해25.6℃
  • 흐림23.6℃
기상청 제공
영원한 평안을 기원하는 영평사 낙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n이슈

영원한 평안을 기원하는 영평사 낙화

화려하게 피어올라 슬며시 사그러지는 ‘윤회의 뜻’을 담아

 

[굿뉴스365] 2567번째 부처님 오신날 땅거미가 내려앉을 무렵 세종시 장군산 산사에서는 추적추적 내리는 빗물 소리에 더해 청아한 목탁소리와 함께 낭낭한 스님의 독경소리 "석가모니불, 석가모니불...”이 울려퍼지는 가운데 시작된 제등행렬.

 

여기에 타닥타닥 어둠을 깨우는 소리와 흩날리는 불꽃.

 

장군산 영평사(주지 환성스님)에서 맞는 석탄일의 의미는 사뭇 남다르다.

 

세종대왕의 마지막을 지킨 고명대신 김종서 장군의 슬픈 사연을 담고 있는 장군산에 자리한 영평사는 ‘영원한 평안’을 뜻하니 참으로 신묘한 조화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억울한 죽음과 신원이 되기까지 300여년을 한으로 떠돌았을 장군에게 영혼의 안식을 주기 위함일까. 영평사 마당에서는 고려때부터 전해진다는 낙화의 불꽃이 화려하게 피었다가 사그러들고 있었다.


이날 재현된 낙화는 ‘낙화유(落火遊)’·‘줄불놀이’라고도 한다.

사월 초파일이나 대보름날 밤에 물위에 줄을 걸어 밤하늘 강물에 흩어지는 불꽃을 관람하던 운치 있는 놀이 귀족들의 놀이로 주로 뱃놀이나 시회·관등놀이 등에서 놀이의 흥을 돋우기 위해 행해졌다. 뽕나무나 소나무 또는 상수리나무 껍질을 태워 만든 숯가루를 한지주머니에 채우고 그것을 나뭇가지나 긴 장대 또는 추녀 끝이나 강가 절벽 위에 줄을 매고 매달아 불을 붙인다. 그러면 불씨주머니에 든 숯가루가 타면서 불꽃이 사방으로 흩어지는데, 이러한 모습이 마치 ‘불꽃’이 떨어져 날아가는 것 같아 ‘낙화놀이’라고 불리었다.

 

세종시 영평사는 최근 이 낙화놀이를 재현하고 영원히 남기기 위해 최민호 시장의 지원을 받아 제작 방법에 대한 특허까지 출원했다.

 

영평사의 낙화는 가는 빗줄기 속에서도 2시간여 동안 타들어 갔다.

 

부처님 오신날을 봉축하기 위해 제등행렬에 참여한 사바 중생들의 시름을 한줄기 불꽃으로 날려버리고 그들이 염원하는 소원을 빌어주고 영원한 평화를 기원하듯.

 

점차 사그러져 가는 낙화와 함께 스님의 독경소리도 부처님 탄신을 축하하던 중생들의 소란함도 장군산의 어둠속으로 묻혀갔다.

 

20230527_210113.jpg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