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9-10 00:51
[굿뉴스365] 세종시가 추진중인 국제정원도시박람회가 재정난을 겪으며 안팎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외적으로는 전체 사업 예산 450억원 가운데 20%에 달하는 정부지원이 필요한 90억원의 확보여부가 박람회 개최의 주안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박람회를 주관하는 산림청의 검토와 기획예산처의 심의를 거쳐야 된다.
내적으로는 더 큰 암초가 도사리고 있다.
의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반대에 가까운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2일 김현미 의원은 임시회 5분발언을 통해 재정상황뿐만 아니라 박람회 개최 자체를 부정하는 모양새다.
김 의원은 공원과 정원의 관리 주체를 거론하며 세종시에는 정원이 단 한 평도 없다고 밝혔다.
또 국제인증문제를 놓고 세종시가 공인받은 C.I.B(Communities In Bloom)에 대해 "세종시 포함 4개국가 5개도시가 소개되어 국제기구라고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앞서 "국제정원박람회를 열었던 순천시나 울산시는 ‘국제박람회에 관한 협약’에 따라 박람회 국제사무국 총회에 등록하거나 박람회 국제사무국 총회에서 승인받았다”고 언급했다.
여기에 더해 김 의원은 "세종시 국제정원도시 인증을 보면서 약 10여년 전에 있었던 제주도 세계 7대경관 진입 사기사건이 떠올랐다. 스위스에 있는 국제 비영리기구에서 세계 7대경관을 선정한다고 하여 해당 지자체에서는 면밀한 조사 없이 국제기구라는 권위만 믿고 사업을 추진했다가 혈세만 낭비하고 결국 사기로 종결된 사건이었다”라고 밝혔다.
세종시가 추진하는 박람회와 관련 외적으로 정부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것은 앞으로 세종시가 산림청 등 정부기관을 설득해야 하는 일이다.
시가 정원도시박람회의 필요성을 얼마나 잘 포장해서 정부의 승인을 이끌어낼지는 세종시의 역량이지만 소위 ‘내부총질’이라 할 수 있는 김 의원의 비판은 좀 더 면밀히 살펴야 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든다.
먼저 세종에는 국립수목원을 비롯 베어트리파크와 같은 수준 높은 사립정원과 도심 옥상정원 등이 있다. 또 전의에는 조경수 마을도 존재한다. 생산과 소비가 세종에서 모두 이루어질 여건을 갖추고 있다.
국제승인문제도 그렇다.
순천만이나 태화강 국제정원박람회는 국제적으로 국제원예생산자협회(AIPH)의 승인을 받았으며 2002년과 2009년에 열렸던 안면도 국제꽃박람회 역시 마찬가지다.
이들 박람회가 AIPH의 승인을 받은 것은 자연정원박람회의 경우 원예박람회를 관할하는 국제기구이기 때문이다.
즉 그동안 국내의 국제박람회는 생산자 중심의 박람회로 자연환경에 접목한 원예가 중심이다.
하지만 세종시가 추진하는 박람회는 도시정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당연히 인증기구가 다를 수 밖에 없다.
또 김 의원이 밝힌 것처럼 4개국가 5개도시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20개국 200여 도시가 C.I.B에 참여하고 있으며 올해만 5개국가 38개 도시가 국제챌린지에 참여했으며 박람회 개최를 위한 승인을 요청한 것이다.
끝으로 세종국제정원도시박림회의 추진을 제주도 사건과 비교해 언급한 것은 세종시와 시민을 너무 무시하는 처사로 보여 질 수도 있다.
정원도시국제박람회는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한번도 열리지 않았던 박람회다.
처음가는 길이 장미꽃을 뿌려 놓은 탄탄대로는 아니다.
이 길을 세종시가 가고자 하는 것이다.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어줘도 어려운 길을 나아가지 못하게 뒤에서 매달려서야 되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