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6-15 15:25

  • 흐림속초22.9℃
  • 흐림26.3℃
  • 구름많음철원25.4℃
  • 구름조금동두천27.3℃
  • 구름많음파주26.7℃
  • 흐림대관령22.3℃
  • 구름많음춘천26.8℃
  • 맑음백령도22.5℃
  • 비북강릉22.2℃
  • 흐림강릉25.4℃
  • 흐림동해21.6℃
  • 구름조금서울27.2℃
  • 구름조금인천25.8℃
  • 흐림원주25.9℃
  • 구름많음울릉도25.6℃
  • 구름많음수원26.8℃
  • 흐림영월20.7℃
  • 흐림충주22.0℃
  • 구름많음서산26.1℃
  • 구름많음울진25.7℃
  • 구름많음청주26.5℃
  • 흐림대전27.6℃
  • 흐림추풍령28.2℃
  • 흐림안동27.8℃
  • 흐림상주26.3℃
  • 구름많음포항27.8℃
  • 구름조금군산27.2℃
  • 소나기대구28.0℃
  • 구름많음전주28.0℃
  • 맑음울산29.0℃
  • 맑음창원32.1℃
  • 구름많음광주31.0℃
  • 맑음부산28.2℃
  • 맑음통영29.0℃
  • 구름조금목포28.0℃
  • 맑음여수27.9℃
  • 구름많음흑산도26.4℃
  • 맑음완도30.1℃
  • 구름많음고창28.4℃
  • 구름많음순천27.9℃
  • 구름많음홍성(예)27.5℃
  • 흐림26.5℃
  • 맑음제주27.2℃
  • 구름조금고산25.9℃
  • 구름많음성산26.0℃
  • 구름조금서귀포27.1℃
  • 구름조금진주31.8℃
  • 구름많음강화25.3℃
  • 구름많음양평25.2℃
  • 구름많음이천26.3℃
  • 구름많음인제25.3℃
  • 구름많음홍천25.6℃
  • 흐림태백20.8℃
  • 흐림정선군21.3℃
  • 흐림제천25.4℃
  • 구름많음보은27.5℃
  • 구름많음천안26.9℃
  • 흐림보령25.6℃
  • 구름많음부여27.2℃
  • 구름많음금산28.0℃
  • 흐림26.8℃
  • 구름조금부안27.8℃
  • 구름많음임실27.4℃
  • 구름많음정읍28.7℃
  • 구름조금남원31.3℃
  • 구름많음장수26.4℃
  • 구름조금고창군29.2℃
  • 구름많음영광군28.1℃
  • 맑음김해시30.9℃
  • 구름조금순창군29.4℃
  • 맑음북창원32.4℃
  • 구름조금양산시32.9℃
  • 구름많음보성군26.6℃
  • 구름조금강진군29.5℃
  • 구름많음장흥29.2℃
  • 구름조금해남29.6℃
  • 구름조금고흥30.3℃
  • 구름조금의령군33.7℃
  • 구름많음함양군32.3℃
  • 구름조금광양시30.9℃
  • 구름조금진도군27.6℃
  • 흐림봉화25.8℃
  • 흐림영주21.5℃
  • 구름많음문경27.6℃
  • 흐림청송군26.9℃
  • 흐림영덕23.9℃
  • 흐림의성24.9℃
  • 흐림구미27.8℃
  • 구름많음영천30.5℃
  • 구름조금경주시33.2℃
  • 구름많음거창27.8℃
  • 구름많음합천27.5℃
  • 구름조금밀양32.8℃
  • 구름많음산청31.1℃
  • 맑음거제29.8℃
  • 맑음남해29.7℃
  • 맑음30.7℃
기상청 제공
“이 나무가 제 나무예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나무가 제 나무예요”

고사리 같은 손으로 심은 나무…평생 간직할 추억이 되길

KakaoTalk_20240325_212540537_01.jpg


[굿뉴스365] 고사리 같은 앙증맞은 손에 들린 조그만 부삽으로 열심히 흙을 나른 아이는 선생님이 나눠준 작은 조리개로 나무에 물을 주었다.

 

잔뜩 찌푸린 날씨에 바람도 제법 불어 옷깃을 여미게 하는 날씨였지만 나무를 심는 아이들은 기대에 찬 눈빛으로 마냥 신나보였다. 아이들의 웃음소리에 나무 심는 현장은 구름 낀 하늘과는 달리 모두들 즐거운 표정이었다.


정론회가 25일 마련한 가로 정원 가꾸기 현장에서 나무를 심은 아이는 자신이 심은 나무가 아닌 다른 나무에 명찰을 달아주려고 하자 그 나무가 아닌 두어 발짝 떨어진 곳의 나무를 가리키며 "저 나무가 제 나무예요. 제가 심은 나무요”라며 그 나무 앞으로 가서 자신이 직접 쓴 명찰을 달았다.

 

아이가 심은 나무는 조금은 이름이 생소한 산딸나무.

 

한국이 원산지인 이 나무는 6~7월에 하얀 꽃이 피고 가을에 산딸기를 닮은 빨간 열매를 맺으며 붉은 옷을 입은 듯 단풍이 드는 관상수다.

 

나무가 자라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고 단풍이 들면 자신이 키운 나무를 보며 아이가 얼마나 좋아할까. 상상만으로도 기쁜 일이다.

 

이 아이의 말대로 정론회는 세종시민 내 나무갖기 운동을 부강면 갈산리 백천교 인근 가로 정원 현장에서 가졌다.

 

당초 취지는 이곳을 방문한 시민들이 모두 자기 나무를 심고 가꾸자는 것이지만 이날은 사업의 첫 걸음인 만큼 미리 준비한 나무를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자신이 심은 나무에 명찰을 달아 표식를 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아이들을 인솔한 선생님은 식재를 하는 동안 나무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거름을 부어 주며 "이제 아이들이 잘 자도록 이불을 덮어 줘야지”라며 모종삽으로 나무를 흙으로 덮어 주라고 일러 주었다. 16명의 어린이들은 열심히 자신의 나무를 심고 물을 줬다.

 

이날 식재한 나무는 모두 153그루.

 

기념식수를 위한 반송을 비롯해 산딸나무와 무궁화, 그리고 기존에 심어져 있던 연산홍을 이식하고 주변을 담장처럼 에메랄드그린으로 둘렀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정론회는 언론과 민간 봉사단체가 함께 세종시를 푸르게 단장하기 위해 시민의 숲을 조성하고 내 나무갖기 운동을 실시하기로 하고 부강면을 기점으로 세종시의 8개 읍면에 가로 정원과 틈새 공원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정론회가 첫 시동을 건 ‘내 나무 갖기 운동’은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녹지공간을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시민운동의 일환으로 국제정원도시박람회 성공 기원 및 대기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것이다.

 

정론회는 이 운동을 통해 어린이들에게는 생명의 소중함과 나무가 생육하는 과정을 체험하게 하고 참여한 시민들에게는 애향심을 고취하는 부수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최민호 세종시장은 축사를 통해 "나무 하나하나를 정성을 들여 심고 내 이름을 붙여서 이게 나중에 크면 내가 크는 거와 같은 좋은 마을을 만들 것”이라며 "하나하나가 다 잘 자라는 나무라고 생각하시고 정성을 기울여서 뜻깊은 이 운동이 우리 세종시 전체로 확산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도 "어릴 적 태어나던 해에 심어진 감나무가 지금도 생각납니다. 지금은 비록 대청댐을 만들며 수몰되어 사라졌지만 고향의 기억 저편에 남아있습니다”라고 회상하며 "어린이들이 이렇게 나무 심어놓고 어른이 돼서도 와서 보고 그러면 자기보다 훌쩍 큰 나무를 보면서 굉장히 많은 것을 느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종수 세종시 산림조합장은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며 120그루 정도의 나무를 소비한다고 하는데 이날 심겨진 나무를 비롯해 더 많은 나무를 심어 최소한 자신이 쓰고 가는 나무보다 많은 나무를 이 땅에 남겨 놓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이날 행사를 위해 부강면에 자리잡은 아세아 제지 소속 봉사단원들은 지난 22일 미리 식재를 마쳤고 한화 봉사단은 묵묵히 나무를 심을 구덩이를 만들었으며 부강면자연보호협의회 회원들은 아이들의 나무심기를 돕고 마무리작업까지 마친 후에야 발걸음을 옮겼다.

 

작업을 마치자 나무의 활착을 돕기라도 하듯 한 두 방울 이어진 비가 밤까지 이어졌다.

 

Screenshot_20240326_001314_Video Player.jpg

 

KakaoTalk_20240325_211451490_19.jpg

 

KakaoTalk_20240325_211544754.jpg

 

KakaoTalk_20240325_212540537_03.jpg

 

KakaoTalk_20240325_211451490.jpg


KakaoTalk_20240325_212540537_04.jpg

 

 

관련기사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