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6-03 06:32

  • 맑음속초12.7℃
  • 맑음11.3℃
  • 맑음철원10.6℃
  • 맑음동두천12.1℃
  • 맑음파주13.4℃
  • 맑음대관령4.5℃
  • 맑음춘천13.2℃
  • 맑음백령도15.3℃
  • 맑음북강릉12.3℃
  • 맑음강릉12.5℃
  • 맑음동해12.3℃
  • 맑음서울16.0℃
  • 맑음인천16.2℃
  • 맑음원주14.1℃
  • 구름많음울릉도14.6℃
  • 맑음수원13.7℃
  • 맑음영월12.8℃
  • 맑음충주15.1℃
  • 맑음서산13.9℃
  • 구름조금울진12.4℃
  • 맑음청주16.1℃
  • 맑음대전14.2℃
  • 맑음추풍령12.7℃
  • 구름조금안동14.1℃
  • 구름조금상주13.0℃
  • 구름많음포항16.2℃
  • 맑음군산13.5℃
  • 구름조금대구16.1℃
  • 맑음전주14.5℃
  • 구름많음울산15.6℃
  • 맑음창원15.7℃
  • 맑음광주15.5℃
  • 구름조금부산16.6℃
  • 맑음통영15.8℃
  • 박무목포16.0℃
  • 맑음여수17.0℃
  • 구름조금흑산도17.2℃
  • 맑음완도14.5℃
  • 맑음고창13.3℃
  • 맑음순천8.8℃
  • 맑음홍성(예)14.2℃
  • 맑음12.5℃
  • 구름많음제주17.9℃
  • 맑음고산18.3℃
  • 구름많음성산18.6℃
  • 구름많음서귀포20.3℃
  • 맑음진주13.7℃
  • 맑음강화13.7℃
  • 맑음양평13.7℃
  • 맑음이천13.6℃
  • 맑음인제11.4℃
  • 맑음홍천11.6℃
  • 맑음태백8.9℃
  • 구름많음정선군10.7℃
  • 맑음제천13.3℃
  • 맑음보은11.4℃
  • 맑음천안11.7℃
  • 맑음보령13.8℃
  • 맑음부여11.8℃
  • 맑음금산11.0℃
  • 맑음13.3℃
  • 맑음부안14.3℃
  • 맑음임실10.2℃
  • 맑음정읍12.3℃
  • 맑음남원12.3℃
  • 맑음장수8.8℃
  • 맑음고창군11.8℃
  • 맑음영광군13.2℃
  • 구름많음김해시16.3℃
  • 맑음순창군11.1℃
  • 맑음북창원16.3℃
  • 맑음양산시17.2℃
  • 맑음보성군14.2℃
  • 맑음강진군13.3℃
  • 맑음장흥12.0℃
  • 맑음해남13.1℃
  • 맑음고흥12.5℃
  • 맑음의령군13.7℃
  • 맑음함양군10.8℃
  • 맑음광양시15.1℃
  • 맑음진도군12.8℃
  • 맑음봉화13.8℃
  • 맑음영주14.7℃
  • 구름조금문경12.1℃
  • 구름조금청송군13.5℃
  • 구름조금영덕13.8℃
  • 구름조금의성14.3℃
  • 구름조금구미15.7℃
  • 구름많음영천15.2℃
  • 구름많음경주시15.9℃
  • 맑음거창11.2℃
  • 맑음합천13.7℃
  • 맑음밀양15.9℃
  • 맑음산청12.4℃
  • 맑음거제15.6℃
  • 맑음남해15.8℃
  • 맑음15.8℃
기상청 제공
충남도, 지하수 공공관정 관리 더 똑똑하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보도자료

충남도, 지하수 공공관정 관리 더 똑똑하게

충남도가 스마트폰으로 지하수 공공관정의 모든 정보를 손쉽게 보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도는 24일 도청 영상회의실에서 도와 시·군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하수 스마트관리시스템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지하수 스마트관리시스템은 도가 지난해 전국 최초로 마련한 ‘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해 구축, 공공관정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앞으로 6개월 간 진행하게 될 용역에서는 지하수 관리 앱을 개발하고, 각 공공관정 정보와 연결하는 QR코드를 부착한다.
지하수 관리 앱은 △공공관정 고장 신고, 지하수 정보 확인, 인허가 사항 및 관리 이력 등 ‘사용자 모드’ △지하수 조사, 지하수 조사 결과 입력, 미등록 시설 확인 등 ‘조사자 모드’ △담당 공무원 현장조사, 이용부담금, 사후관리, 영향조사, 수질검사 등 ‘관리자 모드’ 등 3개 분야로 개발한다.
도는 이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지하수 정보 실시간 이용 △공공 지하수 시설 체계적 관리 및 활용도 제고 △지하수 관리 업무능률 향상 △사용자 접근 편의성 증대 △도민 물 복지 향상 △선도적 지하수 정책 수립 기반 마련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기웅 도 물관리정책과장은 “이번 시스템 개발이 완료되면 주민과 공무원들이 스마트폰으로 제원과 점검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등 공공관정 이용과 관리가 훨씬 편리해질 것”이라며 계획된 기간 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또 “도는 앞으로 지하수 통합정보시스템 운영·관리를 고도화 하고, 지하수 관측자료 분석을 통한 가뭄 예측, 지하수 장해 요인 사전 예방, 상수도 미 보급 지역 물 공급 확대 등을 통해 깨끗하고 안전한 지하수 이용 환경을 조성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내 지하수 함양량은 연간 13억 6227만 톤이며, 개발 가능량은 9억 8418만 톤, 이용량은 4억 7537만 톤이다.
도내 지하수 관정은 27만 8022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유형별로는 생활용이 14만 4726공, 농업용 13만 1171공, 공업용 1338공, 기타 1237공 등이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